지방줄기세포
지방유래줄기세포(Adipose derived Stem Cell)의 특징

지방유래줄기세포(지방줄기세포 또는 약자로 ADSC, ASC라고도 한다.)
지방유래줄기세포는 지방흡입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다. 적은 지방조직에서 많은 양의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으며 재생의학에 있어 유용한 세포이다. 그리고 적은 양의 조직 채취로 많은 양의 세포를 얻어, 배양하여 반복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.
1. WHO |
• 성인 |
2. WHAT |
• 엉덩이, 허벅지, 복부에서 지방 흡입 |
3. WHEN |
• 건강할 때, 또는 재생성질환, 성형외과 수술이 필요할 때 |
4. WHERE |
• 채취 – 성형외과에서 마취 후 채취
• 보관 – 병원, 기업, 연구소 등
|
5. WHY |
세포 채취 및 보관을 하는 이유
• 공여 – 연구와 기증을 위해
• 개인용 – 질병치료를 위한 자가 건강을 위한 목적 |
6. HOW |
• 피부, 뼈, 조직, 혈관 등을 통해 이식하는 방법 등 |
7. 적용증(현재 임상중인 질환 포함) |
• 성형외과, 피부재생, 주름개선, 연골 손상, 관절 염증, 요실금, 변실금, 지방위축병, 심근경색, 당뇨, 간질환, 허혈성 말초혈관질환, 다발성 경화증, 크론씨병, 알츠하이머 질환 등 |
지방유래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실험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 : Experimental factors to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-derived stem cells
분화요소 |
분화종류 |
잠재적 임상 |
Insulin, IBMX (3-isobutil-1-methylxanthine), dexamethasone, rosiglitazone, indomethasone |
Adipogenic |
재건 수술과 피부 필링 |
bone morphogenetic protein, fibroblast growth factor, transforming growth factor, dexamethasone, insulin growth factor |
Chondrogenic |
퇴행성 질환에서의 재생수술과 관절 재생 |
1,25 dihydroxycholecalciferol b β, glycerophosphate, ascorbic acid, bone morphogenetic protein 2, valproic acid |
Osteogenic |
퇴행성 질환, 종양, 트라우마에서의 뼈 조직 재생 |
? |
Myogenic |
듀켄근 위축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재생 |
stem cell factor, interleukin-3, interleukin-6 |
Cardiomyogenic |
급성심근경색 이후 심장 근육의 재생 |
? |
Vascular/endothelial |
신혈관 형성, 허혈성 질환 |
valproic acid, insulin, hydrocortisone, epidermal growth factor, FGF |
Neurogenic |
만성 퇴행성 질환과 중심부와 말초신경 시스템의 외상 |
Activin-A, exedin-4, pentagastrin, hepatocyte growth factor, nicotinamide, glucose |
Pancreatic/endocrine |
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|
hepatocyte growth factor, oncostatin, dimethyl sulphoxide |
Hepatic |
간의 재구성 |
? |
Hematopoietic |
조혈(혈액세포)의 재구성 |
이 논문은 지방줄기세포가 다양한 세포로 분화가 가능함을 증명하는 연구 중 하나이며, 잠재적으로 앞으로 어떠한 임상적용이 가능한지도 보여주고 있다. | 출처 : Schäffler & Büchler, 2007
Leave a reply
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.